[OSENbiz=강희수 기자] 사전계약으로 8,000대가 접수된 기아의 첫 번째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 Purpose Built Vehicle) ‘니로 플러스’가 30일 정식 출시됐다. 사전계약은 12일부터 27일까지 12영업일간 약 8,000대가 몰렸는데, 택시 모델이 48%, 업무용 모델이 52%로 집계됐다.
기아는 이 같은 결과를 두고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성공적 출발'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쓰임새에 맞게 경제적인 선택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챙길 수 있다.
니로 플러스는 1세대 니로 EV를 기반으로 일부 요소를 재설계해 실용성을 높인 모델이다. 전고를 80mm 높였고, 실내 구성을 최적화해 여유로운 실내 공간을 확보했다. 새 모델이 출시되면 종전 모델을 단종시키던 방식에서 벗어난 새로운 시도다.
![]() |
택시 모델은 택시 영업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통합 제공하는 ‘올인원 디스플레이(All-in-One Display)’와 슬림형 헤드레스트, 워크인 디바이스, C타입 USB단자, 2열 시트벨트 버클 조명, B필러 어시스트 핸들 등 2열 승객을 배려한 편의사양을 넣었다.
기아는 택시 영업을 위한 서비스가 늘어남에 따라 추가되는 스마트폰 등의 기기를 조작하며 산만해지는 운전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올인원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 올인원 디스플레이는 영업용 기기를 통합 적용하고 음성인식으로 다양한 기능을 지원한다.
![]() |
또한 기아는 카카오모빌리티와 협업해 올해 중으로 무선 업데이트(OTA)를 통해 올인원 디스플레이에서 카카오택시 호출앱을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발 중이다. 승객이 택시 호출 시 올인원 디스플레이를 통해 호출을 확인하고 스티어링 휠 버튼으로 수락할 수 있어 택시 기사의 운전 집중도를 높인다.
![]() |
기아 관계자는 “실제 택시 서비스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최근 두 달 동안 진행한 올인원 디스플레이 시범 운행에서 높은 인식률과 빠른 반응속도에 대해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았다”며 “앞으로 사용자가 궁금해하는 질문에 대한 업데이트를 꾸준히 진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니로 플러스의 가격은 세제혜택 후 ▲택시 모델 라이트 트림 4,420만 원, 에어 트림 4,570만 원 ▲업무용 모델 에어 트림 4,570만 원, 어스 트림 4,690만 원이며 환경부 보조금 700만원과 지자체별 보조금, 택시 추가 보조금(택시 모델 한정)을 받으면 실제 구입가격은 더욱 낮아진다. 서울시 택시를 기준으로 한 보조금을 예를 들면, 환경부 보조금(700만 원), 환경부 택시 추가 보조금(200만 원), 서울시 보조금(200만 원), 서울시 택시 추가 보조금(100만 원) 등 총 1,200만 원에 이른다. /100c@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