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ENbiz=강희수 기자] "아파트 단지의 주차장에 충전 설비를 설치하는 게 생각보다 단순하지 않다. 전기차 충전에 사용될 추가 전력 공급을 위해서는 수전 설비를 추가해야 하는데 이 작업이 만만치 않다."(황우현 제주에너지공사 사장)
"노르웨이는 전력 생산의 98%를 수력발전에서 얻고 있다. 발전 인프라가 재생에너지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노르웨이는 30년전부터 전기차 중심 정책을 펼쳐 왔고, 그 결과 지난 9월 기준 노르웨이 신차 판매의 90%가 전기차다."(스베인 그란덤 주한 노르웨이 대사관 상무참사관)
전기차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됐다. 충전 인프라를 깔고, 전기차 보급만 늘리면 전기차 시대가 오는 것 같지만 현실은 그리 녹록치 않다. 노르웨이처럼 수력발전이 에너지의 원천이고, 단독 주택 위주의 주거 형태가 갖춰져 있다면 고민할 것 없이 전기차가 답이다.
![]() |
물론, 현재로선 뾰족한 대책은 없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 임한규 부회장의 말처럼 “오늘 포럼이 국내 전기차 활성화 및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는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고 기대할 뿐.
‘글로벌 전기차 시장 및 소비자 트렌드’라는 주제로 마련한 ‘2021 KAIDA 오토모티브 포럼(KAIDA Automotive Forum)’이 16일 밀레니엄 힐튼 서울에서 열렸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이하 KAIDA)가 4회째 주최한 포럼이다.
온·오프라인으로 동시 진행된 이번 포럼에는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 페터 돌레시 유럽자동차제작자협회 모빌리티 및 지속가능 운송부처 이사, 스베인 그란덤 주한 노르웨이 대사관 상무참사관, 최현기 컨슈머인사이트 수석, 황우현 제주에너지공사 사장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연사로 나섰다.
각 연사들은 정책부터 국내외 전기차 시장 및 소비자 동향, 충전 인프라 등 다양한 시각으로 전기차 시장을 조명하고, 시장의 성장 촉진을 위한 이야기를 나눴다.
![]() |
유럽자동차제작자협회 페터 돌레시 이사는 유럽 각국과 제조사 현황에 대해 발표했다. 그는 유럽 자동차 업계가 그린딜 계획을 바탕으로 전체 가치사슬의 구조적 변화를 도모하며 기후 중립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전기차 구매부담, 충전 인프라 부족 등 실생활에서의 어려움이 산적해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 |
![]() |
![]() |
KAIDA 임한규 부회장은 “국내 자동차업계 및 소비자와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국내 자동차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포럼을 마련하게 되었다”고 소개하며, “오늘 포럼이 국내 전기차 활성화 및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는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KAIDA 오토모티브 포럼은 2016년 ‘디젤 자동차의 미래’를 주제로 처음 열렸다. 이후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비전’, ‘모빌리티의 미래: EV 시대 도래하나?’라는 주제로 시대적 트렌드를 숙의했다. /100c@osen.co.kr